의료계에서는 의대정원 2000명 증원 발표 이후 전반적인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의료계의 대표 단체인 의료계대한의사협회(의협)는 의대증원에 강하게 반대하며, 총파업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병원들은 환자 보호자들에게 만약을 대비해 병원 이전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의협은 비상대택위원회(비대위)를 구성하고 궐기대회를 열어 국민에게 알리고 정부에 저항할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16개 시도에서 궐기대회를 개최하고, 중요한 의료시스템을 담당하는 대형 병원 전공의들의 참여로 인해 환자들에게 불편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중환자 치료에 참여하는 대형 병원 전공의들의 동참이 환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일부 국립대병원에서는 환자 보호자에게 병원 이전을 권고하는 연락이 돌아가고 있습니다. 의료계는 정부의 의대증원에 반대하며 의료제도 개선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에 대해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운영하며, 응급환자에게 중대한 불이익을 끼친 경우 면허·자격정지 및 취소 처분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복지부 장관 조규홍은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한 우려를 이해하면서도 정부의 진심을 전하며 응급의료 현장을 살리기 위한 노력을 다짐했습니다.
이같은 상황 속에서 의료계와 정부 간의 긴장 관계가 계속되고 있지만, 의료체계를 살리기 위한 노력과 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협력할 방안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의료계의 불안감을 해결하고, 의료체계를 안정화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 영하권 기온, 출근길 추위 주의 (1) | 2024.02.15 |
---|---|
이태원 참사, 경찰 책임 축소 시도 (0) | 2024.02.14 |
기후동행카드 첫날, 아끼는 교통비 vs 복잡함 (0) | 2024.01.28 |
배현진, 중학생 습격 후 30일치 응급입원 종료 (0) | 2024.01.27 |
이준석 당대표, 개혁신당 공식 출범 (0) | 2024.01.20 |
댓글